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1. 건축법령과 주위토지통행권의 범위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law provisions and the scope of 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1) 건축 관련 법령에 정한 도로 폭에 관한 규정만으로 당연히 피포위지 소유자에게 반사적 이익으로서 건축 관련 법령에 정하는 도로의 폭이나 면적 등과 일치하는 주위토지통행권이 생기지는 않는다.

The construction law provisions regarding the width of a road do not automatically create a 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in the same width or size stipulated in construction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owner of the enveloped land as a reflective profit.


(2) 다만 법령의 규제내용도 참작하여 피포위지 소유자의 건축물 건축을 위한 통행로의 필요도와 그 주위토지 소유자가 입게 되는 손해의 정도를 비교형량하여 주위토지통행권의 적정한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However, the regulatory content of such laws and regulation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in balancing the degree of necessity of a passage road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by the owner of the enveloped land and the degree of damage upon the owner of the surrounding land, so a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scope of the 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2. 통행권의 범위 The scope of the right of passage


주위토지통행권의 범위는 현재의 토지의 용법에 따른 이용의 범위에서 인정할 수 있을 뿐, 장래의 이용상황까지 미리 대비하여 정할 것은 아니다.

The scope of the right of passage may be acknowledged within the scope of the use of the land according to its current method of use, and it is not to be determined in anticipation of future use.


3. 통행지소유자의 의무 The duties of the owner of the passage


(1) 주위토지통행권자가 민법 제219조 제1항 본문에 따라 통로를 개설하는 경우, 통행지 소유자는 원칙적으로 통행권자의 통행을 수인할 소극적 의무를 부담할 뿐 통로개설 등 적극적인 작위의무를 부담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case where a passage is constructed by the holder of the 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in accordance with Article 219 (1) of the Civil Code, the owner of the passage shall only bear a passive obligation to sustain the passage by the holder of the right of passage in principle, while not bearing an active obligation to construct a passage, etc.


(2) 다만 통행지 소유자가 주위토지통행권에 기한 통행에 방해가 되는 담장 등 축조물을 설치한 경우에는 주위토지통행권의 본래적 기능발휘를 위하여 통행지 소유자가 그 철거의무를 부담한다.

Provided, however, that if the owner of the passage has constructed a structure such as a fence that interferes with the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right of passage over the surrounding land, the owner of the passage bears the duty to remove it so that the 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shall fulfill its original function.


4. 비용부담과 손해보상 The burden of the costs and compensation for the loss


주위토지통행권자는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되는 때에도 그 통로개설이나 유지비용을 부담해야 하고, 민법 제219조 제1항 후문 및 제2항에 따라 그 통로개설로 인한 손해가 가장 적은 장소와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며, 통행지 소유자의 손해를 보상해야 한다.

Even where the 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is recognized, the holder of the right of passage over surrounding land shall bear the costs of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the passage, and choose the place and method that entails the smallest damage in constructing the passage, and compensate for the loss of the owner of the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latter sentence of Article 219 Paragraph (1) as well as Article 219 Paragraph (2) of the Civil Code.






반응형

The decision to confiscate the guarantee amount and the decision to cancel the bail

 

 

1. 형사소송법 제103조 제1항은 "보석을 취소할 때에는 결정으로 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몰취할 수 있다."라고 규정한다.

Paragraph 1 of Article 10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at the time of the cancellation of the release on bail, the order can also confiscate part or all of the guarantee amount."

 

2. 이는 보석취소사유가 있어 보석취소결정을 할 경우에는 보석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몰수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뿐, 문언상 보석보증금의 몰수는 반드시 보석취소와 동시에 결정하여야 한다는 취지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In case where the decision for cancellation of bail was imposed due to a justifiable reasons for cancellation of bail,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ossibility of confiscation of part or all of bail guarantee amount, but according to the sentence abov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confiscation of the guarantee amount for bailment should concurrently occur with cancellation of bailment.

 

3. 동법 제103조 제2항은 보석된 자가 유죄판결 확정 후의 집행을 위한 소환에 불응하거나 도망한 경우 보증금을 몰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보석보증금은 형벌의 집행 단계에서의 신체 확보까지 담보하고 있으므로, 보석보증금의 기능은 유죄의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의 신체 확보도 담보하는 취지이다.

Since paragraph 2 of Article 103 of the same Act provides that in case of when a party who has not replied to a summons to return for an execution of decision of guilt, or fled, the guarantee amount can be confiscated, the guarantee amount for bail guarantees the securing of the body during the trial procedure lea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enalty.

 

4. 보석취소결정은 그 성질상 신속을 요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에 반하여, 보증금몰수결정에 있어서는 그 몰수의 요부(보석조건위반 등 귀책사유의 유무) 및 몰수 금액의 범위 등에 관하여 신중히 검토하여야 할 필요성도 있다.

Considering the function of the guarantee amount for bailment should be seen as a collateral to secure a body during an enforcement of a criminal penalty process, and there is need to carefully exam the extent of the confiscation amount and the principality of the confiscation (existence of either violation for the condition of bailment or attributable reasons) while the decision to cancel the bail mostly requires quickness.

 

5. 따라서, 보석보증금을 몰수하려면 반드시 보석취소와 동시에 해야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석취소 후에 별도로 보증금몰수결정을 할 수도 있다.

Thus, it does not have to be enforced with cancellation of bail at the same time, but the decision to confiscate the guarantee amount can occur separately after the cancellation of the bail.

 

6. 그리고 형사소송법 제104조가 구속 또는 보석을 취소하거나 구속영장의 효력이 소멸된 때에는 몰수하지 아니한 보증금을 청구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환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고 해도, 이 규정의 해석상 보석취소 후에 보증금몰수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도 아니다. 

And even though Article 104 of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the guarantee amount that has not been confiscated, when effect of writ of confinement is expired or when the bail is cancelled or the party is arrested, should be restored 7 days after the date the request has been filed for the guarantee amount, the interpretation of this article does not make it impossible to confiscate the guarantee amount after the cancellation of bailmen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