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ther a presumed consent to publication of a work may be revoked

 

1. 저작권법 제11조 제2항은 저작자가 미공표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을 양도하거나 저작물의 이용 허락을 한 경우에는 그 상대방에게 저작물의 공표를 동의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규정한다.

Article 11, Paragraph 2 of the Copyright Act provides that in case where the author has assigned his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n an unpublished copyrightable work or has licensed the use of such work, he is presumed to have consented to publication by the other party.

 

2. 저작자가 일단 저작물의 공표에 동의하였거나 동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상 비록 그 저작물이 완전히 공표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동의를 철회할 수는 없다.

Insofar as the author has consented or is presumed to have consented to the publication of the work, he may not revoke such consent even if the work has not been completely made public.

 

 

[Case 1]

 

1. 사건의 개요 Summing-up

 

(1) A는 B가 건축하는 속초 교동 대명아파트 신축공사에 관한 건축설계계약을 B와 체결하면서, A가 작성한 모든 설계도와 참고서류에 대한 소유권 및 모든 권리는 B에게 귀속시키기로 했다.

'A' entered into an architectural design contract with 'B'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Daemyung Apartments to be built by 'B', and right to the design drawing and other ancillary documents prepared by 'A'.

 

(2) 신축계획의 변경으로 인하여 당초의 계약내용을 일부 변경했으며, 이에 따라 A는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B에게 교부했고, B는 A가 작성한 설계도서에 따라서 현재 지하층의 공사를 마치고, 골조공사를 진행했다.

Pursuant to a change in the construction plan thereafter, 'A' prepared and delivered to 'B' the design drawing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aid apartments, and 'B'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basement and i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the frames,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drawing prepared by 'A'.

 

(3) B는 A에게 설계용역에 대한 보수금을 일부 지급했으나, A와 B 사이에 A가 설계한 도면에 하자가 있는지 여부와 설계용역의 보수지급을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했다.

'B' paid 'A' remuneration for the design service. However, a dispute arose between 'A' and 'B' as to whether there was a defect in the drawing designed by 'A' and remuneration for the design service.

 

(4) B는 A의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계약을 해제하는 의사표시를 하고, 이에 대하여 A는 설계용역에 관한 보수의 정산을 요구했다. 

'B' notified 'A' that he has no choice but to rescind the contract due to the breach of contract by 'A', and 'A' demanded settlement of the design service fees on arguing that the architectural design contract cannot be maintained.

 

2. 대법원의 판결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1) 가분적인 내용들로 이루어진 건축설계계약에 있어서, 설계도서 등이 완성되어 건축주에게 교부되고 그에 따라 설계비 중 상당 부분이 지급되었으며 그 설계도서 등에 따른 건축공사가 상당한 정도로 진척되어 이를 중단할 경우 중대한 사회적·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고 완성된 부분이 건축주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는 건축사와 건축주와의 사이에 건축설계관계가 해소되더라도 일단 건축주에게 허여된 설계도서 등에 관한 이용권은 건축주에게 유보된다.

In case of an architectural design contract with divisible terms, such as the contract herein, where the design drawing, etc. has been completed and delivered to the owner, pursuant to which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design fee has been paid, and the construction work has progressed considerably in accordance with such design drawings, etc., so that termination thereof would give rise to grave social and economic damages and the completed part would be a benefit to the owner, the right to use the design drawing, etc. already delivered to the owner should be reserved to the owner even if the relationship of construction design contract between the contractor and the owner is terminated.

 

(2) 따라서, 건축설계계약이 B의 귀책사유로 해제되었어도 A가 설계도서에 관한 저작재산권(복제권)자로서의 지위를 회복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A' cannot recover the status as copyright (reproduction right) holder with respect to the said design drawing even if the architectural design contract was rescinded due to a default of 'B'.

 
(3) 설계계약을 통해 A가 B에게 설계도서의 복제권을 양도함으로써 그 설계도서의 공표에 동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Because 'A' transferred to 'B' the reproduction right, pursuant to the architectural design contract herein, 'A' was presumed to have consented to the publication of the design drawing by transferring the reproduction right on the design drawing to 'B'

 

(4) 그러므로, 비록 그 설계도서가 완전히 공표되지 않았어도 A는 그 동의를 철회할 수 없다.

Thus, 'A' cannot be revoked even if the design drawing was not completely made public.


반응형

Trademarks which are contrary to public order or morality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4호에서 규정한 '공공의 질서 또는 선량한 풍속을 문란하게 할 염려가 있는 상표'라 함은 상표의 구성 자체 또는 그 상표가 지정상품에 사용되는 경우 일반 수요자에게 주는 의미나 내용이 사회공공의 질서에 위반하거나 사회 일반인의 통상적인 도덕관념인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상표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행위가 공정한 상품유통질서나 국제적 신의와 상도덕 등 선량한 풍속에 위배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Trademarks which are contrary to public order or morality' under Item 4 of Paragraph 1 of Article 7 of the Trademark Act includes not only situations where the composition of such trademark or the meaning or context conveyed to the general public in cases where the trademark is used on a designated product goes against public order or good customs in accordance with morality of ordinary citizens, but also includes situations where the act of registration of such trademark will violate fair product distribution as well as morality such as the international trust and business ethics.


<Case>


Q1. 미술저작물에 표시한 서명이 주지·저명한 화가의 것으로서 널리 알려진 경우(피카소의 서명 등), 그 서명과 동일·유사한 상표를 무단으로 출원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4호에 해당하는지 여부.

Whether the unauthorized registration of a signature identical to that signed on the artwork of a widely known and prominent painter(Picasso's signature etc.) is within the purview of Item 4 of Paragraph 1 of Article 7.


A1. 

ⓐ 화가가 자신의 미술저작물에 표시한 서명은 그 저작물이 자신의 작품임을 표시하는 수단에 불과하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자체가 예술적 감정이나 사상의 표현을 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어 저작권법상의 독립된 저작물이라 보기 어렵다.

It may be difficult to view a signature on artwork as an artwork in itself, as it is only used as a means to show that the product is the artwork of the artist and is not in itself an expression of artistic emotion or ideals. 

ⓑ 그러나, 이 서명은 저작자인 화가가 저작권법 제12조 제1항에 의한 성명표시권에 의하여 자기 저작물의 내용에 대한 책임의 귀속을 명백히 함과 동시에 저작물에 대하여 주어지는 사회적 평가를 저작자 자신에게 귀속시키려는 의도로 표시하는 것이다.

But this sort of signature is being marked to clearly attain the responsibility for the context of the artwork according to an artist's right to indicate one's real name under Paragraph 1 of Article 12 of the Copyright Act, showing the intention reverting social appraisement of the artwork to the painter.

ⓒ 만일 그 서명이 세계적으로 주지·저명한 화가의 것으로서 그의 미술저작물에 주로 사용해 왔던 관계로 널리 알려진 경우라면, 그 서명과 동일·유사한 상표를 무단으로 출원등록하여 사용하는 행위는 저명한 화가로서의 명성을 떨어뜨려 그 화가의 저작물들에 대한 평가는 물론 그 화가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이고, 그 유족의 고인에 대한 추모경애의 마음을 손상하는 행위에 해당하여 사회 일반의 도덕관념인 선량한 풍속에 반한다. 

In situations where the signature is that of a widely known and prominent artist, and is widely known because of its use in the artist's artwork, an unauthorized registration of a trade mark that is identical or similar goes against social morality, for it detracts from the reputation of the artist and poses harm not only to the appraisal of the artist's art work, his honor but also the reverence and respect for the deceased of the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artist.

그리고 이러한 상표는 저명한 고인의 명성에 편승하여 수요자의 구매를 불공정하게 흡인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공정하고 신용있는 상품의 유통질서를 침해할 염려가 있다.

And, the unauthorized registration may infringe upon the distribution order of a fair and creditable product because such trademarks free-ride on the fame of the deceased and as a result has unfairly absorbed the consumer's purchase. 

ⓓ 그러므로, 이러한 상표는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4호에 해당한다.

So such trademark can be properly viewed as within the purview of Item 4 of Paragraph 1 of Article 7 of the Trademark Act.

ⓔ 이 경우에 그 저명한 화가가 생존해 있었더라면 자신의 저작물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시해 오던 서명을 타인이 자신과 전혀 무관한 상품의 상표로 무단 등록하여 공표하고 사용하는 것은 저명한 미술저작자로서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불법행위에 해당한다.

In such a case, had the artist been alive, it amounts to an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as an artist to use the artist's signature indicating artworks as his or her own by means of unauthorized registration and proclamation.

반응형

'Law > intellectual property law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정된 저작물공표동의의 철회 가부  (0) 2015.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