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lements required to acknowledge lawfulness of voluntary accompaniment



(1) 형사소송법 제199조 제1항은 “수사에 관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사를 할 수 있다. 다만, 강제처분은 이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 한하며,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 안에서만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여 임의수사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Article 199 Paragraph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ipulates that "Necessary examinations may be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an investigation: Provided, That compulsory measures shall be taken only where otherwise provided in this Act to the least extent necessary." which explicitly provide the principle of investigation with the voluntary cooperation.


(2) 수사관이 수사과정에서 당사자의 동의를 받는 형식으로 피의자를 수사관서 등에 동행하는 것은, 상대방의 신체의 자유가 현실적으로 제한되어 실질적으로 체포와 유사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An investigating officer's accompanying of a suspect to an investigative office etc. in the form of obtaining the party's consent with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will, in reality, restrict the other party's freedom of body, and thus put him in a state similar to a de facto arrest.  


(3) 그러나, 영장에 의하지 않고 그 밖에 강제성을 띤 동행을 억제할 방법도 없어서 제도적으로는 물론 현실적으로도 임의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However, it is not conducted through a warrant and there is no other way to restrain such forceful accompanying, and therefore there is no guarantee of voluntariness, not only institutionally but also in reality.


(4) 게다가, 아직 정식의 체포·구속단계 이전이라는 이유로 상대방에게 헌법 및 형사소송법이 체포ㆍ구속된 피의자에게 부여하는 각종의 권리보장 장치가 제공되지 않는 등 형사소송법의 원리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Moreover, various devices to guarantee rights provid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o an arrested or detained suspect are not offered, on the ground that it is conducted before the official arrest or detainment stage. Thu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unning against the principle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5) 따라서, 수사관이 동행에 앞서 피의자에게 동행을 거부할 수 있음을 알려 주었거나 동행한 피의자가 언제든지 자유로이 동행과정에서 이탈 또는 동행장소로부터 퇴거할 수 있었음이 인정되는 등 오로지 피의자의 자발적인 의사에 의하여 수사관서 등에의 동행이 이루어졌음이 객관적인 사정에 의하여 명백하게 입증된 경우에 한하여, 임의동행의 적법성이 인정된다.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acknowledge its legality only in such limited cases that it is clearly proved that the accompanying was performed solely pursuant to the suspect’s voluntary will, such that the investigating officer informed the suspect of the possibility of refusing the accompanying before the accompanying took place, or that it is proved by objective circumstances that the accompanied suspect may freely leave the accompanied place at any time.


(6) 형사소송법 제200조 제1항에 의하여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이 피의자에 대하여 임의적 출석을 요구할 수는 있겠으나, 그 경우에도 수사관이 단순히 출석을 요구함에 그치지 않고 일정 장소로의 동행을 요구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도 같은 법리가 적용된다.

A public prosecutor or a judicial police officer may request a suspect a voluntary report in accordance with Article 200 Paragraph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but in even such cases, if the investigating officer does not stop at simply requesting to report but requests the suspect to be accompanied to a certain place and execute such request, the same legal reasoning apply.


(7) 행정경찰 목적의 경찰활동으로 행하여지는 경찰관직무집행법 제3조 제2항 소정의 질문을 위한 동행요구도 형사소송법의 규율을 받는 수사로 이어지는 경우에는 역시 같은 법리가 적용된다.

The same legal principles also apply to a demand to accompany for questionings conducted as part of police activities for administrative reasons provided in Article 3 Paragraph (1) of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ct, if the request leads to investigation regulated by the Criminal Procedure Act.





반응형

The principle of the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alteration



(1)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은 피고인만이 또는 피고인을 위하여 상소한 상급심 또는 정식재판청구사건에서 법원은 피고인이 같은 범죄사실에 대하여 이미 선고 또는 고지 받은 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하지 못한다는 원칙으로서, 이는 피고인의 상소권 또는 약식명령에 대한 정식재판청구권을 보장하려는 취지이다.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alteration is that the appellate court should not render severer punishment than punishment imposed or noticed previously for the same criminal fact at higher court or formal procedure in lieu of a summary order filed by the defendant or for the defendant in order to guarantee the defendant's right of appeal or a right of demanding formal trial in lieu of a summary order.


(2) 선고된 형이 피고인에게 불이익하게 변경되었는지에 관한 판단은 형법상 형의 경중을 일응의 기준으로 하되, 병과형이나 부가형, 집행유예, 미결구금일수의 통산, 노역장 유치기간 등 주문 전체를 고려하여 피고인에게 실질적으로 불이익한가의 여부에 의하여 판단한다.

The severity of punishment under the criminal law should be a criterion for disadvantageous alteration and it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defendant is placed practically in a more disadvantageous position, considering the sentence in its entirety as to concurrent punishment, additional punishment, probation, total number of days of pre-trial detention, and detention in a work house, etc.





반응형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young children's testimony is admissible



(1) 증인의 증언능력은 증인 자신이 과거에 경험한 사실을 그 기억에 따라 공술할 수 있는 정신적인 능력이다.

Admissibility of a witness' testimony depends upon his/her mental capacity to state his/her experiences pursuant to his/her memory.


(2) 유아의 증언능력 유무는 단지 공술자의 연령만에 의할 것이 아니라 그의 지적수준에 따라 개별적이고 구체적으로 결정되어야 함은 물론 공술의 태도 및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경험한 과거의 사실이 공술자의 이해력, 판단력 등에 의하여 변식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속하는가의 여부도 충분히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So the admissibility of young child's testimony should be decided not only by age, but also by his/her individual and specific intellectual level,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testimony and the child’s attitudes during the testimony and determining whether facts of past experiences lie within the scope of things that can be understood or judged by the child.





반응형

'Law > criminal_proced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의동행의 적법요건  (0) 2015.10.06
불이익변경금지원칙  (0) 2015.10.03
함정수사의 의미  (0) 2015.09.21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  (0) 2015.09.20
대리인에 의한 고소와 대리권 증명방식  (0) 2015.09.10

The meaning of entrapment



(1) 함정수사란 본래 범의를 가지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 수사기관이 사술이나 계략 등을 써서 범죄를 유발케 하여 범죄인을 검거하는 수사방법을 말한다.

Entrapment is a way of investigating where the investigative authority, utilizing fraud and undue persuasion, incites people who have no criminal intention originally, to commit a crime, resulting in the arrest of the criminal.


(2) 따라서, 범의를 가진 자에 대하여 범행의 기회를 주거나 범행을 용이하게 한 것에 불과한 경우는 함정수사가 아니다. 

Thus, only providing a person, who has already a criminal intention, an opportunity to commit a crime or making it easier is not entrapment.





반응형

Corroborating evidence for confession



(1)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는 범죄사실의 전부 또는 중요 부분을 인정할 수 있는 정도가 되지 않더라도 피고인의 자백이 가공적인 것이 아닌 진실한 것임을 인정할 수 있는 정도만 되면 충분하다.

As long as a corroborating evidence for the defendant's confession reinforces that the confession is not fabricated, but truthful, such corroborating evidence is sufficient although it does not cover the whole or principal part of the criminal facts.


(2) 그리고, 직접증거가 아닌 간접증거나 정황증거도 보강증거가 될 수 있다.

And, indirect or circumstantial evidences can be corroborating evidences.




반응형

A accusation by proxy and the way to prove the delegation of authority



(1) 형사소송법 제236조의 대리인에 의한 고소의 경우, 대리권이 정당한 고소권자에 의하여 수여되었음이 실질적으로 증명되면 충분하고, 그 방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A complaint filed by proxy under Article 236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validly filed if it is substantially proved that the authority to bring the charge was granted by the person entitled to file a complaint, and there are no special restrictions on how to prove such delegation of authority.


(2) 따라서, 고소를 할 때 반드시 위임장을 제출한다거나 '대리'라는 표시를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a power of attorney is not required, nor is it required to specify in the complaint that it is being filed by proxy.


(3) 또 고소기간은 대리고소인이 아니라 정당한 고소권자를 기준으로 고소권자가 범인을 알게 된 날부터 기산한다.

Furthermore, the statute of limitations begins to run from the date on which the person entitled to file a complaint becomes aware of the identity of the alleged offender,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lawful person entitled to file the complaint, and not the knowledge of the agent who filed the complaint.




반응형

The decision to confiscate the guarantee amount and the decision to cancel the bail

 

 

1. 형사소송법 제103조 제1항은 "보석을 취소할 때에는 결정으로 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몰취할 수 있다."라고 규정한다.

Paragraph 1 of Article 10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at the time of the cancellation of the release on bail, the order can also confiscate part or all of the guarantee amount."

 

2. 이는 보석취소사유가 있어 보석취소결정을 할 경우에는 보석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몰수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뿐, 문언상 보석보증금의 몰수는 반드시 보석취소와 동시에 결정하여야 한다는 취지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In case where the decision for cancellation of bail was imposed due to a justifiable reasons for cancellation of bail,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ossibility of confiscation of part or all of bail guarantee amount, but according to the sentence abov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confiscation of the guarantee amount for bailment should concurrently occur with cancellation of bailment.

 

3. 동법 제103조 제2항은 보석된 자가 유죄판결 확정 후의 집행을 위한 소환에 불응하거나 도망한 경우 보증금을 몰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보석보증금은 형벌의 집행 단계에서의 신체 확보까지 담보하고 있으므로, 보석보증금의 기능은 유죄의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의 신체 확보도 담보하는 취지이다.

Since paragraph 2 of Article 103 of the same Act provides that in case of when a party who has not replied to a summons to return for an execution of decision of guilt, or fled, the guarantee amount can be confiscated, the guarantee amount for bail guarantees the securing of the body during the trial procedure lea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enalty.

 

4. 보석취소결정은 그 성질상 신속을 요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에 반하여, 보증금몰수결정에 있어서는 그 몰수의 요부(보석조건위반 등 귀책사유의 유무) 및 몰수 금액의 범위 등에 관하여 신중히 검토하여야 할 필요성도 있다.

Considering the function of the guarantee amount for bailment should be seen as a collateral to secure a body during an enforcement of a criminal penalty process, and there is need to carefully exam the extent of the confiscation amount and the principality of the confiscation (existence of either violation for the condition of bailment or attributable reasons) while the decision to cancel the bail mostly requires quickness.

 

5. 따라서, 보석보증금을 몰수하려면 반드시 보석취소와 동시에 해야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보석취소 후에 별도로 보증금몰수결정을 할 수도 있다.

Thus, it does not have to be enforced with cancellation of bail at the same time, but the decision to confiscate the guarantee amount can occur separately after the cancellation of the bail.

 

6. 그리고 형사소송법 제104조가 구속 또는 보석을 취소하거나 구속영장의 효력이 소멸된 때에는 몰수하지 아니한 보증금을 청구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환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고 해도, 이 규정의 해석상 보석취소 후에 보증금몰수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도 아니다. 

And even though Article 104 of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the guarantee amount that has not been confiscated, when effect of writ of confinement is expired or when the bail is cancelled or the party is arrested, should be restored 7 days after the date the request has been filed for the guarantee amount, the interpretation of this article does not make it impossible to confiscate the guarantee amount after the cancellation of bailmen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