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위원회는
근로계약기간의 만료, 정년의 도래 등으로
근로자가 원직복직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제1항에 따른 구제명령이나 기각결정을
하여야 한다.
이 경우
노동위원회는
부당해고등이 성립한다고 판정하면
근로자가
해고기간 동안 근로를 제공하였더라면
받을 수 있었던 임금 상당액에 해당하는 금품을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명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 제30조(구제명령 등) 제4항
근로기준법 제30조 4항은
부당해고 등
구제절차 도중
근로계약기간의 만료, 정년의 도래 등으로
근로자의 원직복직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근로자에게
임금 상당액 지급의 구제명령을 받을 이익을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일 뿐이다.
따라서,
근로자가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할 당시
이미 정년에 이르거나
근로계약기간 만료, 폐업 등의 사유로
근로계약관계가 종료하여
근로자의 지위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을 받을 이익은 소멸했다.
- 대법원 2022. 7. 14., 선고, 2020두54852 판결 -
반응형
'Law > lab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분요약] 단체협약의 해석 (0) | 2022.11.06 |
---|---|
[3분요약] 통상임금의 요건 - 고정성의 의미 (0) | 2022.11.04 |
[3분요약] 취업규칙 불이익변경 판단기준시점 (0) | 2022.11.03 |
[산재] 건설업 하수급인과 구상권 - 2014다204666 (0) | 2022.05.10 |
근로기준법 제15조의 취지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