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paration of a church and the properties
1. 교회의 법적 성질
Legal nature of a church
(1) 교회가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 설립등기를 마치면 민법상 비영리법인으로서 성립한다.
A church is established as a non-profit juristic person under the Civil Code when it obtains the permission of the authorities in charge and completes the registration of incorporation.
(2) 교회가 법인격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에도, 기독교 교리를 신봉하는 다수인이 공동의 종교활동을 목적으로 집합체를 형성하고, 규약 기타 규범을 제정하여 의사결정기관과 대표자 등 집행기관을 구성하고, 예배를 드리는 등 신앙단체로서 활동함과 함께, 교회 재산의 관리 등 독립된 단체로서 사회경제적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법인 아닌 사단의 일반적인 요건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교회는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 성립·존속하게 된다.
Even in the case that a church does not obtain the status of a juristic person, if it is recognized to meet the general requirement of an association because it conducts activities of a religious organization including the formation of an organization by many people who believe in the doctrines of Christianity for the purpose of collective religious activities, the establishment of rules and regulations, the formation of a decision-making institution and a representative and the conduct of church services, and because it conducts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of an independent organization including the management of the church properties, such churches should be deemed to exist as an association which is not a juristic person.
(3) 기독교 교리를 널리 전파하려는 의도에서 교회가 교인의 자격을 엄격히 심사하지 아니하고 예배에 참여를 허용하는 결과 교회의 가입·탈퇴가 자유롭고 특정 시점에서 교회 구성원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더라도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의 실체를 인정함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There is no problem of recognizing a church as an association, not a juristic person, even if the church does not conduct a strict examin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its members with the intention to widely spread the doctrines of Christianity and as a result everybody is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services and free to join the church and cancel their membership, and even if the number of members of a church at a certain point in time cannot be accurately counted.
2. 지교회의 법적 성질
Legal nature of a branch church
(1)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의 실체를 갖춘 교회가 특정 교단 소속 지교회로 편입되어 교단의 헌법에 따라 의사결정기구를 구성하고 교단이 파송하는 목사를 지교회의 대표자로 받아들이는 경우, 교단의 정체에 따라 차이는 존재하지만, 원칙적으로 지교회는 소속 교단과 독립된 법인 아닌 사단이고 교단은 종교적 내부관계에 있어서 지교회의 상급단체에 지나지 않는다.
Meanwhile, in the event a church is incorporated as a branch church under a certain religious order, forms a decision-making body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religious order and accepts the pastor sent from the religious order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branch church, although religious orders differ, a branch church, in principle, is an association, not a juristic person, independent of the parent religious order, while the religious order is merely a higher-level organization than the branch church in a religious internal relationship.
(2) 다만, 지교회가 자체적으로 규약을 갖추지 아니한 경우나 규약을 갖춘 경우에도 교단이 정한 헌법을 교회 자신의 규약에 준하는 자치규범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만, 지교회의 독립성이나 종교적 자유의 본질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단 헌법에 구속된다.
However, that a branch church can accept the constitution of the religious order as its own rules, both in the case when the branch church does not have its own rules and in the case when it does, the branch church is bound by the constitution of the religious order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infringe upon the independence or the essence of the freedom of religion of the branch church.
3. 법률관계에 관한 법적 분쟁해결
Resolving disputes surrounding its legal relationship
(1) 교회가 법인 아닌 사단으로서 존재하는 이상 그 법률관계를 둘러싼 분쟁을 소송적인 방법으로 해결함에 있어서는 법인 아닌 사단에 관한 민법의 일반 이론에 따라 교회의 실체를 파악하고 교회의 재산 귀속에 대하여 판단해야 한다.
As long as a church exists as an association which is not a juristic person, in resolving disputes surrounding its legal relationship through a legal action, the judgment must be based upon the general theory of the Civil Code concerning an association which is not a juristic person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to determine whom the church properties belong to.
(2) 따라서, 법인 아닌 사단의 재산관계와 그 재산에 대한 구성원의 권리 및 구성원 탈퇴, 특히 집단적인 탈퇴의 효과 등에 관한 법리는 교회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refore, the legal reasoning concerning the properties issues of an association which is not a juristic person, the members' right to the properties and the effect of the withdrawal, especially withdrawal in group, applies to churches as well.
4. 교회의 재산관계
The ownership of a church properties
교인들은 교회 재산을 총유의 형태로 소유하면서 사용·수익한다.
The members of the church collectively own the church properties and use and gain profit from them.
5. 교단의 변경
Changes in the religious order
(1) 변경방법
A way to change
ⓐ 특정 교단에 가입한 지교회가 교단이 정한 헌법을 지교회 자신의 자치규범으로 받아 들인 경우, 소속 교단의 변경은 실질적으로 지교회 자신의 규약에 해당하는 자치규범을 변경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약 지교회 자신의 규약을 갖춘 경우에는 교단변경으로 인하여 지교회의 명칭이나 목적 등 지교회의 규약에 포함된 사항의 변경까지 수반하기 때문에, 소속 교단에서의 탈퇴 내지 소속 교단의 변경은 사단법인 정관변경에 준하여 의결권을 가진 교인 2/3 이상의 찬성에 의한 결의를 필요로 한다.
In the case where it is recognized that a branch church that belongs to a certain religious order has accepted the constitution of the religious order as its rules, changes in the religious order result in the changes of the articles of the branch church, and if the branch church has its own rules, changes in the religious order entail the changes of the provisions included in the rules of the branch church such as the name and objectives of the branch church, therefore the withdrawal from the religious order and the changes in the religious order should require a resolution agreed by 2/3 or more of all the members with the voting rights, as it should be dealt with as it involves changes of the articles of an incorporated association.
ⓑ 만약, 교단변경 결의를 했으나 이에 찬성한 교인이 의결권을 가진 교인의 2/3에 이르지 못한다면 종전 교회의 동일성은 여전히 종전 교단에 소속되어 있는 상태로서 유지된다.
If a resolution was reached about the withdrawal from a religious order and about changes of the religious order but if the number of members who agreed is less than 2/3 of the members with voting rights, the consistency of the previous church still belongs to the previous religious order and is maintained as such.
ⓒ 교단변경 결의에 의하여 교단에서 탈퇴한 교회라도 다시 교단변경 결의를 거쳐 교단을 변경할 수 있다.
Even a church that leaves the religious order through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can change religious order again through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 따라서 교단변경 결의에 반대한 교인들로서는 그 교회 소속의 다른 교인들과 협의를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자신들의 의견에 동의하는 다수의 교인들을 확보하여 2/3 이상의 교단변경 결의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종전 교단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Therefore, members who opposed the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may consult other members of the church, secure a number of members who agree with them, meet the criteria (2/3 or more) of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and return to their previous religious order.
(2) 종전교회와의 동일성
The consistency of the previous church
ⓐ 교단변경 결의가 이루어졌어도 종전 교회와의 동일성은 유지된다.
Even if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is reached, as the consistency of the previous church is preserved.
ⓑ 따라서, 교단변경결의에 반대한 교인들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교인으로서의 지위는 여전히 유지되며, 그 교회 구성원인 교인으로서의 지위 상실은 그의 자유의사에 의하여 결정된다.
Thus, the status of the members who opposed the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 as members must still be maintain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the loss of the membership must be determined by their own will.
(3) 교단변경후의 재산관계
Ownership of the properties of the church which changed in the religious order
(A) 종전교회의 재산
The properties of the previous church
ⓐ 교단변경 결의요건을 갖추어 소속 교단에서 탈퇴하거나 다른 교단으로 변경한 경우, 종전 교회의 실체는 교단을 탈퇴한 교회로서 존속하고 종전 교회 재산은 탈퇴한 교회 소속 교인들의 총유로 귀속된다.
In the event the requirement of resolution for religious order changes was met and the members either left their religious order or moved to a different order, the previous church still exists as a church that has left the religious order while the properties of the previous church shall collectively belong to the members of the church that left the religious order.
ⓑ 일부 교인들이 교회를 탈퇴하여 그 교회 교인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면 탈퇴가 개별적인 것이든 집단적인 것이든 이와 더불어 종전 교회의 총유 재산의 관리처분에 관한 의결에 참가할 수 있는 지위나 그 재산에 대한 사용·수익권을 상실하고, 종전 교회는 잔존 교인들을 구성원으로 하여 실체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존속하며 종전 교회의 재산은 그 교회에 소속된 잔존 교인들의 총유로 귀속됨이 원칙이다.
If some members leave the church and lose their memberships, be it individually or in a group, they have to lose the status of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resolutions concerning the management and the disposition of the collectively owned properties of the previous church along with the right to use and gain profit from the properties, while the previous church exists by maintaining the remaining members and keeping the consistency of its essence, and in principle, the properties of the previous church are collectively owned by the remaining members of the church.
ⓒ 법인 아닌 사단의 재산에 관한 관리처분권은 사단에 속하고 그 관리처분권에 관한 의사결정은 총회 결의에 따르는데, 교단변경 결의에 반대한 사람이 결과적으로 불리한 지위에 놓이게 되더라도 이는 다수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사단의 민주적인 의사결정에 의한 결과이므로 민법의 법인 아닌 사단에 관한 기본법리에 따라 승복해야 한다.
Since the right to manage and dispose of the properties of an association which is not a juristic person belongs to the association and the decision making about the right to management and disposition is done through resolutions from general assemblies, even if a person who does not agree with the above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ends up being in an unfavorable position, that is the result of a democratic decision making by an association with multiple members, so it must be obeyed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legal principle concerning associations which are not juristic persons, under the Civil Code.
(B) 종전교회에서 집단탈퇴한 교인들이 교회를 새로 설립한 경우
In the case that some of the members of a branch church establish a separate church
ⓐ 교단에 소속되어 있던 지교회의 교인들의 일부가 소속 교단을 탈퇴하기로 결의한 다음 종전 교회를 나가 별도의 교회를 설립하여 별도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나아가 다른 교단에 가입한 경우, 그 교회는 종전 교회에서 집단적으로 이탈한 교인들에 의하여 새로이 법인 아닌 사단의 요건을 갖추어 설립된 신설 교회이므로, 그 교회 소속 교인들은 더 이상 종전 교회의 재산에 대한 권리를 보유할 수 없다.
In the case that some of the members of a branch church that belonged to a religious order decide to leave their religious order, leave their church, establish a separate church, elect a new representative or join a different religious order, such a church is deemed to be a newly formed church that was established by meeting the criteria of an association which is not a juristic person by the people who left their previous church in group, and therefore the members of such church no longer holds the right to the properties of the previous church.
ⓑ 교단변경 결의에 찬성하고 종전 교회를 집단적으로 탈퇴하거나 다른 교단에 가입한 교인들은 교인으로서의 지위와 더불어 종전 교회 재산에 대한 권리를 상실한다.
The members who agreed to the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and left their previous church in group or joined a different religious order should be deemed to have lost their status as the member along with their right to the properties of the previous church.
6. 교단변경법리의 적용범위
The scope where the legal reasoning concerning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1) 교단변경 결의에 관한 법리는 교회의 운영 내지 재산에 관한 법률관계에 한정하여 적용된다.
The scope where the legal reasoning concerning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is applied is limited to the legal aspects concerning the operation or the properties of the church.
(2) 교단변경 결의에는 지교회의 종교적 자유와 함께 지교회의 존립목적 유지라는 양 측면에서의 내재적 한계가 존재한다.
But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has an innate limitation of granting the freedom of religion to a branch church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the reason for existence of the branch church.
(3) 따라서 소속 교단의 헌법에서 교단 탈퇴의 허부 및 요건에 관하여 위와 달리 정한 경우에도(민법 제42조 제1항 단서 참조) 그 규정이 지교회의 독립성과 종교적 자유의 본질을 해하는 경우에는 지교회에 대한 구속력을 인정할 수 없다.
Therefore, even in the case that the constitution of the religious order has a different provision that the above concerning the criteria of leaving the religious order {refer to the proviso of Article 42 (1) of the Civil Code}, if such provision harms the independence of the branch church and the essence of the freedom of religion, its legal power over the branch church should not be approved.
(4) 한편, 실질적으로 지교회의 해산 등 교회의 유지와 모순되는 결과를 수반하는 교단변경 결의, 기독교가 아닌 전혀 다른 종교를 신봉하는 단체로 변경하는 등 교회의 존립목적에 본질적으로 위배되는 교단변경 결의는 정관이나 규약 변경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므로 허용될 수 없다.
Meanwhile,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that entails a contradictory result against the maintenance of the church such as the dissolution of the branch church, and a resolution about religious order changes that fundamentally goes against the reason for existence of the church, for instance, a resolution to change the church into an organization that worships a totally different religion from Christianity, cannot be permitted as they go beyond the limit on the changes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or in the rules.
[사례]
'Law > 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의 일체성 (0) | 2015.09.10 |
---|---|
민법상 공동불법행위 (0) | 2015.09.08 |
제3자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 (0) | 2015.09.05 |
수인의 업무집행조합원과 조합재산처분 (0) | 2015.09.03 |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 (0) | 2015.09.02 |